다음은 턴 전반 부분의 몸 사용법을 의식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카빙 턴 속에서 몸의 올바른 사용법과 방향으로 한 단계 업 그레이드된 카빙 스키를 즐길 수 있습니다
먼저 턴의 타입을 보면 살펴보면,
① 정대 (상체가 스키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따라가 스키에 아무런 저항과 영향을 미치지 못 하는 것)
② 상체 로테이션(상체의 진행되는 것에 스키 뒤 테일이 영향 받는 것/스키딩 등)

③ 상체 선행동작(몸의 선생 동작으로 인해 스키 뒤테일의 영향을 받기 전 스키가 꾸준히 진행되는 것) 의 3개의 타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턴 전반의 몸의 사용법에 의해 턴 호의 크기가 바뀔 수 있습니다.
언제나 같은 패턴의 활주 방법이 아닌, 경사도와 스피드의 스키환경의 변화에 따라 스키어 여러분들도 조금씩 병행하면 보다 좋은 스킹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아래 사진은 세계 최고의 알파인 스키어인 오스트리아의 H, Maier 선수의 턴 연결 동작 (2003년 7월 뉴질랜드 트레블 콘 스키장서 훈련하는 모습 중에서)






연습 방법으로는…..
먼저 상체를 정대 시킨 턴. 상체를 움직이지 말고 무릎 허리를 턴 인사이드로 슬라이드 시켜 나가며.. 이미지로서 스키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몸이 자연스럽게 붙어 가는 감각을 살리고, 하반신으로 턴을 시작하고 허리를 중심으로 하는 엣징을 중요시 해야 합니다
- 상체를 로테이션 시키는 방법으론…
로테이션에서는 턴 전반에 어깨 라인을 턴 인사이드로 넣어 갑니다.
몸의 축을 하나로 사용하고 상체로부터 턴을 시동하고 바깥쪽 팔을 설면에 붙여가는 이미지로 활주 하는 것입니다..
- 상체를 선행동작 시킨다.
상체 선행동작은 '정대'와 '로테이션'의 복합형이라 할 수 있습니다.
턴 전반은 로테이션과 같은 요령으로 어깨의 라인을 턴 안쪽으로 넣고, 턴 중반부터 후반까지는 정대와 같은 요령으로 허리를 중심으로 한 엣징을 행하는 것입니다.
카빙 턴 속에서 몸의 올바른 사용법과 방향으로 한 단계 업 그레이드된 카빙 스키를 즐길 수 있습니다
먼저 턴의 타입을 보면 살펴보면,
① 정대 (상체가 스키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따라가 스키에 아무런 저항과 영향을 미치지 못 하는 것)
② 상체 로테이션(상체의 진행되는 것에 스키 뒤 테일이 영향 받는 것/스키딩 등)

③ 상체 선행동작(몸의 선생 동작으로 인해 스키 뒤테일의 영향을 받기 전 스키가 꾸준히 진행되는 것) 의 3개의 타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턴 전반의 몸의 사용법에 의해 턴 호의 크기가 바뀔 수 있습니다.
언제나 같은 패턴의 활주 방법이 아닌, 경사도와 스피드의 스키환경의 변화에 따라 스키어 여러분들도 조금씩 병행하면 보다 좋은 스킹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아래 사진은 세계 최고의 알파인 스키어인 오스트리아의 H, Maier 선수의 턴 연결 동작 (2003년 7월 뉴질랜드 트레블 콘 스키장서 훈련하는 모습 중에서)






연습 방법으로는…..
먼저 상체를 정대 시킨 턴. 상체를 움직이지 말고 무릎 허리를 턴 인사이드로 슬라이드 시켜 나가며.. 이미지로서 스키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몸이 자연스럽게 붙어 가는 감각을 살리고, 하반신으로 턴을 시작하고 허리를 중심으로 하는 엣징을 중요시 해야 합니다
- 상체를 로테이션 시키는 방법으론…
로테이션에서는 턴 전반에 어깨 라인을 턴 인사이드로 넣어 갑니다.
몸의 축을 하나로 사용하고 상체로부터 턴을 시동하고 바깥쪽 팔을 설면에 붙여가는 이미지로 활주 하는 것입니다..
- 상체를 선행동작 시킨다.
상체 선행동작은 '정대'와 '로테이션'의 복합형이라 할 수 있습니다.
턴 전반은 로테이션과 같은 요령으로 어깨의 라인을 턴 안쪽으로 넣고, 턴 중반부터 후반까지는 정대와 같은 요령으로 허리를 중심으로 한 엣징을 행하는 것입니다.
'[i ♥ ski] >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이직포지션 (0) | 2007.01.23 |
---|---|
부츠 신는 방법에 따라 스키가 달라진다 (0) | 2007.01.16 |
스키장비의 올바른 선택 (0) | 2007.01.11 |
숏턴 對 카빙턴 (0) | 2007.01.11 |
숏턴의 미학 (0) | 2007.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