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 ski]/공통

바인딩 이탈 수치 조정법

신pro 2007. 1. 31. 10:36

Stiquette logo designed by zeph@dreamwiz.comWinter City 스키 정보


 

아래 글은 바인딩 이탈 수치 조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표준화된 행위이기 때문에 상표와 상관 없이 모두 해당됩니다. 더 조이건 덜 조이는 것은 개인의 자유이지만, 최소한 스키점에서는 안전을 위해서나 자기 방어를 위해서나 이 표에 맞게 수치를 조정하고 테스트 해야 합니다. 마지막에 나오는 이탈 측정기(calibrator)를 이용한 검증은 이 기계가 준비되지 않은 스키샾에서는 이행이 불가능합니다. 표준을 준수하지 못하는 스키샾은 '스키 전문점'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그럼 아래 내용을...

-----------

= 바인딩 이탈 수치(DIN) 조정 =
- 스키 기술자(Ski Mechanics)의 역할 -

은 승 표 (정형외과, 의학박사)
코리아 스포츠 메디슨 센터/코리아 정형외과

스키는 장비가 안전과 밀접한 연관을 갖는 운동이고, 바인딩은 스키 부상을 막는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비록 90% 이상 줄었다고는 하지만 뼈의 강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아이들의 경우 아직도 전체 부상의 약 5%에 해당하는 다리 골절이 스킹 중 일어나고있고, 안타깝게도 그 중 상당 부분은 바인딩 등의 장비를 잘 선택하여 사용했으면 막을 수 있는 인재이기 때문이다.

안전한 장비를 개발 하는 것은 스키 장비를 만드는 사람이 해야 하는 일이지만 기존 장비를 잘 이용하는 것은 스키어의 몫이다. 하지만 그 사이에 중요한 교량 역할을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들을 '스키 기술자'(Ski Mechanics)라고 부른다.

스키 기술자는 장비의 선택부터 시작하여 장비의 설치, 조정, 수리 등에 이르는 전 과정에 관여한다. 이러한 스키 기술자의 행위 하나 하나는 모두 스키어의 안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므로, 많이 팔면 그만인 일반 운동구 판매점의 점원과는 현저히 다른 의미를 갖는다. 특히 다리 골절을 막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쉽게 할 수 있는 '이탈 강도 수치'의 조정을 의외로 스키점의 기술자들 조차 제대로 지키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 바인딩의 이탈 강도 수치 조정과 이탈 검사

스키를 즐기는 각 나라에서는 스키어의 안전을 위해서 장비에 대한 표준을 정하여 그 기준에 맞도록 장비를 만들고 조정하도록 해놓고 있는데, 바인딩의 이탈 강도에 대해서는 ASTM(American Society of Testing Material) 및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에서 정한 표준을 따르고 있다. 다음 소개하는 바인딩의 '이탈 강도 수치' 조정 방법은 2001/2002 시즌 현재 표준으로 설정되어있는 방법이다.

요즘 몇 가지 연구에서 이 수치가 필요 이상으로 높다는 결과들이 나오고 있지만 완전히 확인되기 전 까지는 각 회사에서 배포 되는 해당 시즌의 자료를 참고해야 한다. 회사 마다 다른 모양의 표를 배포하지만 같은 표준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내용은 같다.

* 바인딩 이탈 수치 조정 표 (참고 자료)



이 표를 보는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예)
남자/30세
키 : 170cm (5피트 6인치)
몸무게 : 65kg (143 파운드)
스키화 바깥 껍질 길이(boot sole length) : 300cm
스키어 경향(skier type) : 제 2형 스키어(type II skier)

# 바인딩 이탈 수치 조정을 위한 스키어의 분류
: 이 방법은 스키어의 능력을 구분하는 방식이 아니고, 이탈 수치에 적용하고자 '스킹 경향'을 스키어 자신이 직접 분류하는 방법이다.

제 1형 스키어(Type I skier)
- 조심스럽게 스키를 타는 사람. (Ski conservatively)
- 저속, 중-하급자 경사를 선호하며 '이른 이탈'이 일어나더라도 평균 보다 낮은 수치로 조정하길 원하는 사람.
- 자신을 분류하기 조차 어려운 초보자에게 주로 적용된다.

제 3형 스키어(Type III skier)
- 저돌적으로 스키를 타는 사람. (Ski aggressively)
- 언제나 고속으로 질주하며 급경사면을 선호하고, 평균 보다 높은 수치로 조정하길 원하는
사람.

제 2형 스키어(Type II skier)
- 적당히 즐기는 사람. (Ski moderately)
- 여러 가지 스피드와 지형을 즐기고 가끔은 아주 어려운 곳도 가는 사람.
- 제 1, 3형 스키어에 해당되지 않는 모든 스키어.

1) 먼저 몸무게와 키를 이용하여 스키어 코드(Skier code)를 정한다.

- 몸무게(143 파운드)만 가지고 보자면 스키어 코드 'J'에 해당된다.
- 키(5피트 6인치)만 가지고 보자면 'K'에 해당된다.
- 이렇게 키와 몸무게의 코드가 다른 경우에는 표의 위 쪽에 해당되는 코드를 택한다.

여기 까지 결과, 이 사람의 스키어 코드는 'J'

2) 이어 '스킹 경향'에 따른 코드의 조정을 한다.

- 이 표의 기본은 제 1형 스키어를 대상으로 표시 되어있다.
- 제 2형 스키어는 아래로 한 칸, 제 3형 스키어는 아래로 두 칸 내려간다.
- 단, 키가 표시 되어있지 않은 위의 7칸에 해당되는 저 체중, 저 신장(주로 어린이)에 해당 되는 사람들은 제 3형 스키어이더라도 1칸만 내린다.

그래서 이 사람(제 2형 스키어)은 한 칸 내려 스키어 코드는 'K'가 된다.

3) 최종적으로 나이에 따른 코드의 조정을 한다.

- 나이가 50 이상인 스키어는 한 칸 올린다.

이 스키어(30세)는 상관 없으므로 최종 스키어 코드는 'K'이다.

4) 스키화의 바깥 껍질의 길이(outer shell length : 스키화 옆에 적혀있는 것을 보거나 아니면 자로 재보면 된다)에 따라 '이탈 강도 수치'를 결정한다.

- 스키어 코드 'K'에 해당하는 행과 스키화의 바깥 껍질 길이인 300mm에 해당하는 열이 만나는 칸의 수치는 5.5이다. 이것이 앞 뒤 바인딩의 창에 보이는 눈금을 맞추어야 하는 이탈 강도 수치. 즉 DIN 수치이다.

* 키, 몸무게에 비해 발의 크기가 너무 크거나 작아서 표의 빈칸에 해당되는 경우는 좌우로 이동하여 첫 번째 만나는 칸의 수치로 정한다.

5) 드라이버로 바인딩의 앞 뒤에 있는 조정용 나사를 돌려 수치를 조정한다.

- 이때 창이 달린 위치가 모델 마다 다르므로 창에 수직으로 수치를 읽어야 하는 점을 조심한다.

대부분 여기에서 바인딩의 이탈 수치 조정 작업이 끝났다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여기 까지는 바인딩에 표시된 숫자를 그렇게 맞추었다는 것이고 실제로 바인딩이 설정한 이 탈 강도 수치에서 풀리냐 하는 것은 아무도 장담할 수가 없다. 특히 그 바인딩이 몇 년 지나서 스프링의 강도가 변했거나 유지를 잘못하여 이물질이 잔뜩 끼어있는 상황이라면 더욱 믿을 수가 없는 것이다. 그래서 스키화-바인딩 시스템의 실제 이탈 강도를 측정하는 기계(release test machine)가 이미 70년대부터 개발되기 시작했고, 현재 표준에 맞추어 미국 스키 상점 들이 사용하는 것은 '버몬트 칼리브레이터(Vermont Calibrator)'라는 기구이다. 바인딩을 새로 장착한 경우나 기존 바인딩 모두 권장하는 기간에 따라 이런 기계로 제대로 풀리는지를 확인 해야 한다.

다시 표로 돌아가서...

표의 우측 끝에 스키어에게 권장되는 이탈 강도를 토크로 표기한 범위(torque range in Newton Meters : N*m)가 표시되어있다.

* 참고 수치 (Reference value)
: 각 스키어 코드에 해당되는 이탈 강도(토크)

* 허용 범위 (Min/Max range, Inspection tolerance)
: 참고 수치 바로 위 아래 수치 사이의 범위. 세 번 측정 한 것 중 가운데 수치를 택하여 이 범위에 들면 통과된다.

* 사용 가능 범위 (In-use range)
: 바인딩의 사용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수치. 이 수치를 넘긴 바인딩은 사용할 수 없다. 이 범위 안에는 들어가는데 허용 범위(Min/Max Range, inspection tolerance)를 넘은 경우는 이 탈 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소를 점검하여 (바인딩을 청소하거나 스키화의 바닥 상태를 점검하여 손상되어 있으면 스키화를 바꾸는 등) 다시 측정한다. 이런 조정 작업 후에도 허용 범위를 넘으면 최종적으로는 '이탈 강도 수치'를 다시 조정 한 후에 다시 이탈 검사(release test)를 한다.

6) 표에서 허용 범위(inspection tolerance, min/max range)를 확인한다.

- 스키어 코드 'K'인 스키어에게 권장되는 이탈 토크의 범위(torque range in Newton
Meters : N*m)는

ㄱ. 앞 바인딩의 측방 이탈의 경우
참고 수치: 50, 허용 범위: 43-58, 사용 가능 범위: 37-67

ㄴ. 뒤 바인딩의 상방 이탈의 경우
참고 수치: 194, 허용 범위: 165-229, 사용 가능 범위: 141-271

7) 공인된 바인딩 이탈 측정기(binding release testing device)로 앞 바인딩의 측방 이탈 토크와 뒤 바인딩의 수직 이탈 토크를 각 3회 씩 측정하여 가운데 수치를 기록한다.

- 이 스키어가 소유한 장비의 경우 이탈 측정기로 측정한 앞 바인딩의 이탈 토크가 50N*m, 뒤 바인딩은 200N*m로 측정되었다고 가정한다.

모두 허용 범위 내에 들어가므로 5.5의 '이탈 강도 수치'를 그대로 적용한다.

--------------

이렇게 바인딩의 이탈 강도를 개개인의 조건에 맞게 조정하여 다리가 부러질 수 있는 위험한 외력이 가해질 때 바인딩이 풀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스키 기술자의 중요한 역할이다. 하지만 바인딩은 장착시 미세한 위치 변동, 관리 등이 커다란 변수가 되어 기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런 부분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 각 바인딩의 스프링은 이탈 수치 범위의 중간에서 최상의 기능을 발휘하므로 위의 표에서 확인한 적절한 이탈 강도 수치를 고려하여 바인딩을 권하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한편 스키의 올바른 선택 및 유지, 그리고 거의 모든 스키어에게 문제가 되고있는 스키화의 선택 및 맞춤 작업 역시 스키 기술자가 해야 하는 중요한 역할이다.

이런 다양한 작업을 소화해내야 하는 스키 기술자는 해부학, 생역학 등의 기초의학적 지식 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기술자로서 공학적 지식과 손재주가 필요하다. 이런 모든 것이 스키어의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라는 것을 생각해 볼 때, 스키 기술자는 어쩌면 의료인에 상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고도 볼 수 있겠다.

이렇게 중요한 스키 기술자의 역할을 아무나 흉내내어 하고있다면 큰 문제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의 현실은 상당 수의 스키 기술자들이 최소한의 교육도 거치지 않은 채 어깨 너머 배운 경험으로 이런 중요한 작업을 하고있다는 것이다.

물론 '서당개 삼년이면...' 이란 속담처럼 눈썰미 좋고, 말 주변 좋은 사람이라면 다년간의 경험으로 충분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을 지도 모른다. 그러나 스키어들이 어느 곳을 찾아가든지 믿을 만한 스키 기술자를 만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그 자격을 관리하는 '스키 기술자 교육 과정'이 필요하다.

미국의 경우도 상당 수의 스키점 직원은 '스키 기술자'라고 부르기엔 부족한 자질의 직원들이 많이 있다. 하지만 그 동안 겪었던 뼈 아픈 경험 들을 바탕으로 최소한의 책임은 지키려는 노력을 하고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 뼈 아픈 경험이라는 것은, 스키점 직원이 스키어의 신체 조건에 적합하게 바인딩 조정을 하지 않았거나, 그 기록을 남지기 않은 상태에서, 스키어가 바인딩이 풀리지 않아 다리가 부러진 경우, 스키점이 소송에 연루되어 큰 배상을 한 경우가 많이 있었다는 것이다. 그런 과정을 겪으며 자연스럽게 '스키 기술자'를 교육하는 교육 과정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고, 현재는 스키 메카닉스 분야의 대가 칼 에트린져가 주최하는 'Ski Mechnics Workshop' 과정이 해마다 미국 전역을 돌아다니며 열려 스키 기술자 들을 교육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작업이 1987년에는 스키점에서 행해지는 행위의 표준으로 제정되기에 이른다. 이후 미국의 경우 장비의 질과 그 유지 상황이 크게 개선되어, 조사 결과 일반 스키어들의 바인딩 이탈 강도의 조절 수준이 권장 수치에 육박하고 있다.


은 승 표
코리아 스포츠 메디슨 센터/코리아 정형외과 원장
http://kosmed.co.kr

“넘어져서 미끄러지다가 일어나려 하지 마세요.
넘어지면 손을 앞으로 가져가고 다리를 모으세요.
전방 십자 인대 끊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 ACL Awareness Program –

“스키 장비 전문점에 가서 장비 검사하시고,
바인딩 이탈 수치를 표에 맞게 조절하세요.
다리 부러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 Check it out! -

“Serious & Safe Ski for Everybody!”
- CMC SKI TEAM -

'[i ♥ ski] >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턴 후반부 체크포인트  (0) 2007.02.08
베이직포지션  (0) 2007.01.23
부츠 신는 방법에 따라 스키가 달라진다  (0) 2007.01.16
스키장비의 올바른 선택  (0) 2007.01.11
숏턴 對 카빙턴  (0) 2007.01.11